centos(4)
-
[centos] firewalld
- firewalld ?: centos 7부터는 방화벽으로 iptables가 아닌 firewalld를 사용한다. : 따라서, 방화벽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다음 명령어를 사용해야한다.1. firewall-cmd (콘솔)2. firewall-config (x윈도우) firewalld는 설정을 변경할 시 다시 로딩할 필요가 없다. 즉, 기존 네트워크 연결에서 의도하지 않은 중단이 발생하지 않는다. (단, 영구적인 설정 등은 reload가 필요하다. 이렇게 reload가 필요한 경우는 밑에서 자세히 다루겠다.) 단, centos 7에서 iptables를 사용할 수도 있다.이럴 때는 firewalld를 중지시키고 사용해야한다. # stop firewalld[root@localhost ~] # systemctl st..
2019.04.22 -
[centos] 방화벽
실습할 네트워크 구조웹서버(centos text)를 운영하고, 방화벽(centos 7)을 통해 외부에서의 접근(ubuntu 18.04)을 제어한다.(이때, centos 7의 ens33과 ubuntu의 아이피는 공인 아이피라고 가정한다.) 1. centos text 네트워크 설정 1.1 bridge 모드 :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 Network Adapter > Bridged 설정으로 bridge 모드로 설정해준다. 1.2 ip, gateway 설정[root@localhost ~] # nmtui : nmtui 명령어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ens33의 네트워크 설정을 할 수 있는 창이 뜬다. : 위의 네트워크 구조에 맞게 ip, 게이트웨이 설정을 한다. ip : 10.1...
2019.04.11 -
[centos] ftp
FTP (File Transfer Protocol):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 특히 대용량 파일을 전송하는데는 ftp만한 것이 없다. vsftpd : 리눅스 ftp 서비스 데몬 중 하나: 특히, 보안 부분을 강조한 데몬 실습 환경 : CentOS 7가상 머신 : VMware workstation Pro 12 1. vsftpd 설치 [root@localhost ~] # yum -y install vsftpd:일반적인 ftp의 홈디렉터리는 /var/ftp 이다. 2. ftp 사용 계정 생성[root@localhost ~] # useradd ftpuser -d /home/ftpuser : ftpuser 사용자의 홈디렉터리는 /home/ftpuser로 한다.(이때, ftpuser 디렉터리는 만들어줘야 한..
2019.04.09 -
[centos] 서비스
1. 서비스: 시스템과 독자적으로 구동되어 제공하는 프로세스ex) 웹서버(httpd), db 서버(mysqld), ftp 서버(vsftpd) 등이 있다.: 서비스의 실행 스크립트 파일은 /usr/lib/systemd/system/서비스이름.service centos6까지는 /etc/rc.d/init.d 디렉터리에 서비스 관련 파일들이 있었다..> 이를 chkconfig, service 명령어를 통해 제어했다. centos7부터는 서비스들이 대부분 unit으로 분리되었고, 서비스이름.service 파일명을 가지며, systemctl 명령어로 제어한다. 2. systemctl(아래 표에 대한 출처는 링크 걸어놨습니다.) systemctl description systemctl start name.servic..
2019.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