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0)
-
[centos] 파일 위치 검색
‘이것이 리눅스다’ 저자의 Red Hat CentOS7 리눅스 서버&네트워크 강좌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find [경로] [옵션] [조건] [action] : 기본 파일 찾기 옵션 : -name : 제시한 이름의 파일을 찾음 -user : 제시한 사용자의 파일을 찾음 -newer -perm(허가권) : 제시한 권한을 가진 파일을 찾음-size : 제시한 사이즈의 파일을 찾음> 95k 사이즈부터 100k 사이즈까지의 파일을 찾음 action :-print : 디폴트 action-exec : 외부명령 실행 ex ) find /home -name "*.swp" -exec rm {} \;: 찾은 파일을 지우기 위한 명령* \; : 외부명령의 끝 which 실행파일이름 : PATH에 설정된 디렉터리만 검색w..
2019.03.17 -
[centos] 파일 압축과 묶기
‘이것이 리눅스다’ 저자의 Red Hat CentOS7 리눅스 서버&네트워크 강좌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파일 압축 : 리눅스에서 파일 압축을 하면 파일을 통채로 압축해서 원본파일은 사라진다. - 확장명 : xz, bz2, gz, zip, Z- 압축률 : xz > bz2 > gz * 파일 내용에 따라 압축 파일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 압축 : xz 파일 이름- 풀기 : xz -d 파일이름.확장자.xz - 압축 : bzip2 파일 이름 - 풀기 : bzip2 -d 파일이름.확장자.bz2 - 압축 : gzip 파일이름 - 풀기 : gzip -d 파일이름.확장자.gz 파일 묶기: 리눅스에서 파일 압축과 묶기는 원칙적으로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수행한다.명령어는 tar이며, 묶인 파일의 확장명도 tar t..
2019.03.17 -
[centos] yum
‘이것이 리눅스다’ 저자의 Red Hat CentOS7 리눅스 서버&네트워크 강좌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yum : rpm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 인터넷을 통해서 필요한 파일을 저장소에서 자동으로 모두 다운로드해서 설치하는 방식 > 알아서 관련된 파일을 다 다운받음으로써 의존성 문제를 해결한다. - 명령어 1. 설치 & 삭제1234yum install 패키지 이름yum -y install 패키지 이름 yum remove 패키지 이름cs-y : 사용자의 확인을 모두 yes로 간주하고 진행한다. * rpm 파일도 설치가 가능하다. 이때는 yum localinstall rpm파일이름.rpm 명령을 사용한다. 2. 업데이트 가능 목록 확인 & 업데이트12yum check updateyum update 패키지..
2019.03.17 -
[centos] rpm
‘이것이 리눅스다’ 저자의 Red Hat CentOS7 리눅스 서버&네트워크 강좌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rpm : window의 "setup.exe"와 비슷한 설치 파일이다.확장명은 .rpm( * 주로, 패키지가 들어있는 cd를 사용해서 패키지 설치를 진행한다. )- 파일 이름 패키지이름 - 버전 - 릴리즈번호.centos버전.아키텍처.rpm - rpm 명령어 1. 설치 :1# rpm -Uvh 패키지파일이름.rpmcs [옵션] -U : 패키지 설치/업그레이드-v : 설치과정 확인-h : 설치진행과정을 # 마크로 화면에 출력 2. 삭제 1rpm -e 패키지 이름cs : 이때 꼭 패키지 파일이 아닌 '패키지 이름'으로 해야한다. 3.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1rpm -qa 패키지이름cs: 아무것도 출력되..
2019.03.17 -
[centos] 파일의 소유권/허가권, 링크
‘이것이 리눅스다’ 저자의 Red Hat CentOS7 리눅스 서버&네트워크 강좌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소유권/허가권: 리눅스에서는 어떤 파일들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ls 명령어를 많이 쓴다.: 이때 -l 옵션을 붙이게 되면 파일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 ls -l 명령] - 파일의 정보 - rw- r-- r-- 1 root root 2464 3월 14 17:30 file1.txt : 파일의 정보는 총 8개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나타낸다. 1. - : 파일 유형 디렉터리 : d | 일반 파일 : -* 위의 사진의 파일은 일반파일 2. rw- r-- r-- : 파일 허가권 처음 3개 : 소유자(사용자)의 파일 접근 권한중간 3개 : 그룹의 권한마지막 3개 : 그 외의 사용자의 권한 r..
2019.03.17 -
[centos] 사용자 및 그룹 관리
‘이것이 리눅스다’ 저자의 Red Hat CentOS7 리눅스 서버&네트워크 강좌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리눅스 다중 사용자 시스템 (multi-user-system)root라는 이름을 가진 슈퍼유저가 있으며,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모든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소속되어 있다.사용자는 /etc/passwd 파일에 정의되어있다. [ /etc/passwd 파일 ] - 각 행의 의미사용자 이름 : 암호 : 사용자 아이디 :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 아이디 : 전체 이름 : 홈 디렉터리 : 기본 쉘* x : /etc/shadow라는 파일에서 암호를 따로 관리한다는 의미 [ /etc/group 파일 ] : 그룹 정의 파일 - 그룹 & 사용자 만들기 실습순서 : 그룹 만들기 > 사용자 만..
2019.03.17